여론조사 방법, 여론조사 특징, 여론조사의 역사
질문의 형태에 따른 여론조사 응답차이와 고려사항 본문
질문의 형태에 따른 여론조사 응답 차이와 고려사항
여론조사의 성패를 가늠하는 3가지 요소라고 한다면 첫 번째 질문지, 두 번째 표본 그리고 세 번째 실사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질문지는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서 응답이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통계에 있는 명언 중에 하나가 'Garbage In Garbage Out'이라는 명언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바로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 즉 질문을 잘하지 않으면 좋은 자료가 나올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질문 설문의 기본 형태
질문 설문의 여러 가지 기본적인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끝이 열어져 있는 개방형 질문인데요, 쉽게 말하면 주관식 질문이라고 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끝이 닫혀 있는 즉 폐쇄형 질문인데 다른 말로 객관식 질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개방형 질문은 다양한 응답을 얻어낼 수 있고 보기가 너무 많고 복잡할 때 편리한데요. 예를 들어 '여러분에게 여러분 좋아하는 가수는 누구인가요?'라고 물어본다면 아마 보기에서 고르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또 질문을 하는 사람도 수많은 가수들을 보기에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쉽지 않겠죠? 그래서 이렇게 다양한 응답이 나올 수 있는 경우에는 개방형 질문으로 묻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개방형 질문은 아마 여러분도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 우리가 설문조사에 응하다 보면 맨 마지막 질문이 여러분이 바라는 바를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응답해주세요.라고 해서 주관식 응답을 쓰게 하는 그런 질문들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때 응답을 잘하시나요? 아마 대부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응답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부담이라던가 또 응답의 수준이 응답자의 수준에 따라서 굉장히 달라지기 때문에 쉽지 않고 또 개방형 질문 같은 경우에는 분석하는 과정에서 또 코딩하는 과정에서 분석자의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있는 것도 단점이 되겠습니다. 폐쇄형 질문은 보기에서 고르면 되니까 응답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고 고를 수 있고 또 분석 시 그냥 카운트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보기를 아주 잘 만들어야 합니다. 특히 보기가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오는 범주형인 경우라면 보기를 만드는데 매우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폐쇄형 질문을 보기를 잘 만들어야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폐쇄형 질문의 보기 구성시 고려할 점
폐쇄형 질문의 보기를 구성할 때는 크게 두 가지를 꼭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첫 번째는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보기에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포괄적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가능한 응답이 나올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 예를 보시겠습니다. '당신의 한 달 용돈은 어느 정도 입니까?' 라고 물어봤는데요. 보기가 이렇게 10만 원 미만, 10에서 20만 원, 20에서 30만 원 30에서 40만 원, 40만 원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 용돈이 한 달에 20만 원입니다. 여러분은 몇 번에 체크하시겠습니까? 2번이라고 생각하신 분도 있고 3번이라고 생각하신분도 있을 텐데요. 보통 이렇게 구간을 나누는 경우에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에 포함된 경우라면 응답이 달라집니다. 그러니 이렇게 보기에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죠. 자 한 가지 더 보겠습니다. 뮤지컬이 좋았던 점은 무엇입니까? '글, 스크린이 아닌 직접 만날 수 있어서', '노래를 통해 더욱더 깊은 감정을 느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통해 다문화에 대해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어서', '배우들의 연기 노래 춤을 볼 수 있어서', 그리고 기타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뮤지컬 완득이가 좋았던 점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서 '글, 스크린이 아닌 직접 만날 수 있어서나', '배우들의 연기 노래 춤을 볼 수 있어서' 이것 두 가지는 겹치는 부분이 분명히 있죠? 또 '연기 노래 춤을 볼 수 있어서'와 '노래를 통해 더욱더 깊은 감정을 느낄 수 있어서' 이것도 역시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두 번째로 포괄적 이여야 한다는 것인데요. 만약 이런 질문이 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자영업, 회사원, 공무원, 농사업, 축산업 여러분은 어디에 응답하시겠습니까? 실은 저는 응답하기가 쉽지가 않네요. 직업이라는 것이 아주 다양하지만 불구하고 여기에는 지금 다섯 개밖에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 분들은 응답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폐쇄형 질문의 보기는 포괄적이어야 합니다. 두 가지 상호 배타적이고 포괄적일 것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폐쇄형 질문은 보기를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서 이분형, 척도형, 범주형, 선다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분형은 보기가 두 가지로 나뉘는 것입니다. 즉 예, 아니오 이렇게 응답을 하는 것이고, 척도형은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응답을 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여러분이 가장 많이 응답을 하는 매우 그렇다, 그런 편이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와 같은 보기를 척도형이라고 합니다. 세 번째는 선다형 또는 범주형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선다형이나 범주형은 여러 가지 내용 중에 고르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 전에 말씀드린 상호 배타적이고 포괄적일 것 이 두 가지 원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또 척도형 보기로 제시하는 질문 같은 경우에는 척도에서 중간 단위의 척도인 그저 그렇다나 보통이다를 포함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또 모르겠다를 포함할 때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여기 보여드리는 표처럼 응답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해야겠습니다. 또한, 보기의 순서도 고려해야 하는데요. 먼저 불러주는 보기 또 중간에 있는 보기 나중에 있는 보기가 다른 보기에 비해서 훨씬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떤 순서로 부르느냐 하는 것도 많이 고려해야 하는데, 그래서 특히 경선하려고 하는 조사 같은 경우에는 보기의 순서를 로테이션으로 바꾸어 가면서 부르기도 합니다.
'여론조사 방법, 여론조사 특징, 여론조사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의 수집에 따른 조사방법(정량조사, 정성조사) (0) | 2022.07.25 |
---|---|
척도의 종류 및 특성(리커트, 서스톤, 거트만 척도) (0) | 2022.07.25 |
설문의 순서구성 및 편집의 중요성과 유의할 점 (0) | 2022.07.24 |
면접조사의 특징과 집단면접조사 (0) | 2022.07.24 |
면접조사의 장단점과 개선하는 방법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