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방법, 여론조사 특징, 여론조사의 역사
한국 여론조사의 역사 본문
한국 여론조사의 역사
우리나라 여론조사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여론조사의 기원은 세종대왕으로 거슬러 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세종 12년인 1430년에 세금 징수 관련한 새로운 안을 마련한 것에 대해서 세종대왕이 정부 6조와 각 관사와 서울 안에 전함(前銜), 각 품관과 각도의 감사 수령 및 품관으로부터 여염에 세민(細民)에 이르기까지 모두 가불을 물어서 아뢰게 하라라고 지시를 했고 이에 따라 관료부터 일반 백성까지 모두에게 새로운 세금 징수 안에 대한 가불을 물었고 이 결과를 5개월 후에 보고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이와 같은 양적인 여론조사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조선시대 성군이라고 불리는 왕들에 경우에는 민심을 청취하는 민생탐방을 많이 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민생탐방은 현대 여론조사에 비교하면 FGI Focus Group Interview와 같은 좌담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군정청의 여론조사
이렇게 과거에는 민심을 청취하는 여론을 수렴하는 이런 과정이 있었고, 현대적 의미에 여론조사의 시초는 1946년에 미군정청에서 실시한 여론조사를 현대적인 의미의 여론조사에 시초로 삼습니다. 미군정청 여론국에서는 서울시민 1만 명을 대상으로 정부형태 즉, 어떤 형태의 정부를 원하는가 그리고 사회주의냐 자본주의냐는 어떤 경제 체제를 선호하는 가를 조사했었습니다. 이 조사를 현대적인 의미의 우리나라의 여론조사의 시초로 삼습니다. 또한 한 회 뒤인 1947년에는 조선신문 기자회에서 가두 여론조사를 하기도 했었습니다. 이것은 일정한 공간에 사람들에게 설문지를 나눠주고 투표를 하는 지상 투표식의 방법을 사용했던 여론조사였습니다. 우리나라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선거를 치르면서 여론조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 인 1974년에 우리나라 최초여론조사 회사인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설립되면서 비로소 여론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1974년에 갤럽조사연구소가 설립됐지만 처음 10여 년 동안에는 주로 기업이나 정부기관 조사보다는 신문사 창간 일을 기념해서 신문사 창간 기념을 행사용 여론조사를 간간히 실시하다가 비로소 여론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87년 6월 항쟁을 통해서 선거 여론조사가 허용이 되고 그에 따라서 많은 조사가 실시되게 되었습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는 1987년 12월 16일 대통령 선거 당일 오후 6시에 예측조사 결과를 공표했는데 이 당시 2천 명을 조사한 결과가 실제 개표 결과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차이가 2% 내외에서 일어섰기 때문에 예측조사에 대한 여론조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1995년 제1회 지방선거가 실시되면서 MBC에서 방송 사상 최초의 선거 예측 방송을 실시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선거법 위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그 후 예측방송을 허용하도록 선거법이 개정되고 최근에는 투표일 마감시간인 오후 6시 정각에 모든 방송사에서 그동안의 조사 결과와 출구조사를 결합한 예측 결과를 발표하는 것이 정례화되고 있습니다. 1996년에는 예측방송이 허용되는 것으로 선거법이 개정됨으로써 제15대 총선에서 방송 3사가 여론조사를 실시해서 예측방송을 했습니다. 이 당시 253개 선거구 중 무려 39개에서 예측이 실패했었습니다. 신한국당은 과대하게 예측이 되었고, 즉 실제 결과보다 더 많은 수가 당선이 될 것이라고 예측이 되었고, 야당이었던 국민회의나 민주당, 자민련 같은 경우에는 과소하게 즉 실제 결과보다 더 적은 수가 당선이 될 거라고 예측이 되었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처음으로 대대적으로 실시된 출구조사 관련해서는 너무 엄격한 규정 때문에 제대로 조사가 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었고 이 조사를 계기로 출구조사를 제한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선거법이 개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 당시 오류가 발생했던 것은 실제로는 표본오차라기보다는 대부분 비표 본오 차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야당을 지지하는 성향을 잘 밝히지 않으려고 한다거나 처음으로 대대적으로 조사가 실시됨으로써 조사원에 대한 훈련이나 감독이 잘 되지 않았던 점, 이런 것들도 예측이 실패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의 여론조사는 출구조사 관련 금지 규정이 많이 완화되어 있어서 출구조사가 자연스럽게 진행되고 있고, 또 이렇게 몇 번의 예측이 실패를 하게 됨으로써 실패를 거울삼아 선거 여론조사 기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도 하였습니다. 1999년 11월에는 통계학, 사회학, 심리학 등을 연구하는 학자와 조사를 실제로 수행하는 업계 관련자들이 모여서 한국 조사연구 학계를 창립하기도 했었습니다. 한국 조사연구 학계에서는 조사 윤리규정 및 여론조사 보도 지침 등을 마련하여 조사의 발전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4년 선거부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내에 선거 여론조사 심의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선거 관련한 여론조사에 경우에는 먼저 이 중앙선거관리의 선거관리 심의위원회에 보고를 한 다음에 공표를 해야 하고, 또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표본 수, 그리고 방법, 가중치 부여 등에 대해서 여론조사 심의위원회에서 규정을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론조사의 발전
2012년 말 기준으로 한국조사협회 회원사는 무려 53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여론조사의 역사는 매우 짧지만 그동안 비약적으로 발전을 했고, 우리나라에서도 몇 번의 선거를 걸치면서 예측이 매우 정확한 경우도 있었고 아예 빗나간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여론조사 기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선거여론조사는 유일하게 조사 결과와 예측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조사에 대해서 확인을 해볼 수 있는 조사이기 때문에 선거가 끝나고 나면 각각 조사기법에 대해서 그리고 조사 결과에 대해서 예측에 대해서 관련 학회나 기관에서 모여서 논의를 하고 다음 선거를 위해서 대비를 하는 등에 발전을 이루고 있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여론조사의 역사는 짧지만 짧은 기간에 비해서는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고 점점 발전시키기 위해서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등 학회나 협회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착한 여론조사 좋은 여론조사를 통해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관련 학회나 업계의 노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여론조사 방법, 여론조사 특징, 여론조사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조사의 특징과 집단면접조사 (0) | 2022.07.24 |
---|---|
면접조사의 장단점과 개선하는 방법 (0) | 2022.07.24 |
다양한 전화조사 방법(휴대전화, ARS) (0) | 2022.07.23 |
다양한 여론조사의 실례 (0) | 2022.07.23 |
미국 여론조사의 역사 (0) | 2022.07.23 |